심리학이 남성위주인 이유와 남성 심리학이 없는 이유
남성 심리학의 시대별 흐름
- 19세기 후반
심리학 분야는 초기 단계로 주로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아닌 인간의 이상행동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남성성의 개념은 단순 체력과 지배력으로만 분류되었습니다.
- 20세기 초
오스트리아 의학박사이자 심리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남성성이 성적 발달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아들이 동성인 아버지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이성인 어머니에게는 호의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성적 애착을 가지는 복합 감정) 와 관련이 있다는 생각을 발표합니다.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칼 융' 은원형과 집단 무의식에 관한 이론은 남성이 성별에 따라 특정 유형의 행동에 자연스러운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남성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사회적 조건부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 됩니다.
- 20세기 중반
1970년대 남성 스포츠의 두드러진 출현은 전통적인 남성성 개념에 도전하고 남성 심리학에 대한 보다 복잡한 이해를 요구하였고 이에 복합적인 연구가 활발 하였습니다.
전통적인 남성의 성 역할과 관련된 유해한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독성 남성성' 개념이 도입됐으며 이 개념이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되었습니다.
인지심리학과 진화심리학의 발달은 남성의 행동을 형성하는 생물학적·인지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이전보다 조금 더 복합적인 심리 연구가 진행 되었습니다.
- 20세기 후반부터 현재
급속한 디지털화와 이에대한 남성의 역할로 이전보다 남성의 심리학 연구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남성의 부성, 고령화, 남성 우정 등의 주제로 확대되어 연구되고 있습니다.
페미니즘과 젠더 연구의 대두는 남성의 행동을 형성하는 사회적·문화적 요인을 보다 중시하는 것으로 이어졌고
남성 성역할의 건강하고 건설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긍정적 남성성'이라는 개념이 도입됐어 남성의 역할론에 중점적 연구가 진행 중 입니다.
남성 심리학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
여성심리학이나 아동심리학 노인심리학 등 다양한 연령층과 여성에게는 전문적으로 심리를 분석한 '심리학'이 있다.
그러나 왜? 남자에게만 남성심리학이라는 게 없을까?
남성심리학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알려면 심리학이 탄생된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1879년 독일의 라히프치히 대학교에서 빌헬름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 라는 심리학자가 비과학적인 것에 의문을 가지게 됨으로써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고, 이 실험실에선 여러 심리학자들이 모여 여러가지 실험을 하면서 토대로 지금의 심리학의 기초를 만들게 되었다.
그런데 1800년대 그 즈음에는 여성의 인권이 매우 낮던 시기였고 실험에 관한 모든 것들도 남성 위주로 진행이 되었다.
그러니 지금 나온 '일반심리학' 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남성의 심리에 대한 뼈대를 발판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면 무방하다.
하지만 여성 인권도 점점 높아지게 되면서 어느 순간부터 여성에 대한 심리도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여성의 심리는 남성의 심리와 확연히 다른 부분이 많아 아예 '여성심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일반심리학(남성심리학)에서 여성심리학이 파생된 것이다.
여성 심리학은 따로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