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재미로 알아보는 심리학

소설 프랑켄슈타인에는 어떤 심리학적 요소들이 있을까?

부자언니 홍돈 2023. 5. 3. 14:34

1, 프랑켄슈타인 소설의 탄생 배경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은 1818년 출간된 영국 작가 메리 셸리의 소설로 비정통적인 과학실험으로 인간과 같은 생물을 만들어내는 젊은 과학자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소설의 아이디어는 1816년 여름 메리 셸리가 남편 퍼시 비셰 셸리, 바이런 경 및 기타 작가들과 함께 스위스 제네바 호수에 머물면서 떠올랐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폭풍우 치는 밤, 일행은 괴담을 읽고 즐거워했고 각자 자신만의 이야기를 창작해보기로 합니다. 이로 인해 메리 셸리는  '프랑켄슈타인' 이라는 제목의 소설이 탄생하였습니다.

메리 셸리는 당시 과학적 철학적 지식이 높았고 이 영향으로  생물은 생명력과 활력을 가지고 있다는 본능적 주제와 인간이 신의 영역을 침범한 소설적 이야기 등의 주제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당초 여자는 소설을 쓸 수 없다는 시대적 특성때문에 익명으로 출간돼 찬반양론의 평가를 받았고 일부 비평가는 내용이 어둡고 기괴하다는 이유로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소설은 곧 인기를 얻었고, 그 이후 영문학의 고전이 되었습니다. 수많은 영화, 연극 및 기타 미디어로 각색되어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왔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프랑켄슈타인의 탄생입니다.

2, 프랑켄슈타인 소설의 줄거리

이 이야기는 빅터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젊은 과학자가 죽은 물질로부터 생명을 창조한다는 생각에 빠져 한 생명을 창조한  이야기입니다.

오랜 연구와 실험 끝에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조립한 여러 신체 부위를 조합해 만들어진 생물을 되살리는데 성공합니다. 그러나 그 생물이 눈을 뜨자마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창조한 것에 두려움과 혐오감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는 본인이 창조한 그 생물을 버리고 그 생물이 사라지기를 바라며 본인이 창조했다는 것을 잊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생물은 인간처럼 지적이고 자기 인식적이었고 스스로 세계를 탐험하기 시작합니다. 그 흉악하고 기괴한 모습에 반발하는 인간의 거절과 박해에 직면하면서 점점 분노하고 복수심을 품게 됩니다.

반면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죄책감과 후회에 사로잡혀 자신이 저지른 끔찍한 실수를 깨닫고 이 생물을 제거하려 합니다. 그러나 이 생물은 오히려 창조주인 프랑켄슈타인에게 복수하려 하고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의 창조물과의 사투에 휘말리게 됩니다.

결말은 빅토르 프랑켄슈타인과 그의 괴물 모두의 죽음을 보고 있습니다. 프랑켄슈타인은 본인의 창조물을 북극까지 쫓아가지만 이후 빅터는 중병에 걸리고 지나가던 배의 도움을 받았고 배 안에서 선장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한 다음 죽는다.

빅터를 쫓던 괴물은 그의 시신을 발견하고 슬픔에 잠기게 되고 괴물은 자신의 창조주의 죽음을 한탄하며 자신의 삶을 묻고 자신을 불태우는 것으로 끝내겠다고 선언합니다. 이후 그는 어둠 속으로 사라지고 선장은 방금 목격한 비극적인 사건들을 숙고하게 됩니다.

이렇게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결말은 모호함과 오픈엔드로 마무리 됩니다.

3,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심리학적으로 보자

프랑켄슈타인은 메리 셸리가 쓴 소설로 여러 심리적 주제와 요인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야심과 그 결과: 삶을 창조하려는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의 야망은 그와 그의 주변 사람들에게 큰 해를 끼치는 괴물을 만들어낸다. 그 소설은 억제할 수 없는 야심의 위험성과 신을 연기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둘째


고립과 고독: 빅토르 프랑켄슈타인과 그의 창조물은 고립감과 고독감을 경험하고 그것이 그들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이 됩니다. 이 소설은 고립이 정신적, 정서적 행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셋째


공포와 불안: 두려움과 불안이 소설 전체에 퍼져 있습니다.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은 항상 자신의 창조와 행동의 결과에 대한 공포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 괴물은 또한 주위 세계를 탐색하려고 할 때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게 됩니다.

넷째


죄책감과 후회: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강한 죄책감과 후회를 경험하고 결국 그의 몰락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그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범죄에 대한 죄책감과 싶은 후회를 경험하게 되고 자신의 창조물을 제거하려 합니다.

다섯째


정체성과 자기 발견: 빅토르 프랑켄슈타인과 그의 창조물은 정체성과 자기 발견의 문제와 싸우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자신의 정체성이 외부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이나 선택 등 내부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렇게 소설 프랑켄슈타인은 야심, 고립, 공포, 죄책감, 정체성 등 오늘날에도 관련성이 있는 여러 심리적 주제와 요소를 탐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